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혜숙 의원(민주당)이 14일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해로 인해 훼손된 문화재는 2008년 12점, 2009년 22점, 2010년 52점, 2011년 8월 초까지 56점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7월말부터 8월 3일까지 내린 폭우로 인해 훼손된 문화재는 보물을 포함해 모두 20점으로 피해액만 6억5,9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보물 1211호인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는 문화재 주변의 석축이 유실돼 피해비용만 3억원에 이르렀으며 사적 11호인 풍납토성은 토성 사면부 유실로 인해 복구에만 1억3000만원이 들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한 산사태로 사적 497호 이화장에는 토사와 빗물이 유입돼 전시 중이였던 유물 수십 점이 유실됐으며 보물 1호 흥인지문은 용마루 끝에서 추녀로 이어지는 내림마루의 양성부분이 떨어지는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문화재청은 집중호우 기간동안 행정안전부와 산림청, 소방방재청 등으로부터 피해 방지와 관련된 공문을 받은 적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전혜숙 의원은 “문화재 손실을 자연재해로만 취급하기에는 정부의 조치가 미약한 상황”이라며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따라 문화재 방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하나 기자 andante@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