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목조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방염기술의 특허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청장 김호원)은 지나 6일 목재의 발화 혹은 착화를 막거나 지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방염처리 관련 국내 특허출원을 분석한 결과 1980년대 29건에 그치던 것이 2000년대에는 121건으로 늘었고 2010년부터 2013년 1월까지 21건으로 집계돼 특허 출원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8년 2월 국보 1호인 숭례문에 이어 2012년 10월 정읍 내장산에 위치한 내장사 대웅전과 같은 역사적인 문화재가 화마에 뒤덮여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경험한 바 있다. 반면 2012년 10월 국보 67호인 화엄사 각황전에도 방화시도가 있었으나 초기 진압과 더불어 사전 방염처리로 인해 그 피해가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특허청에 따르면 방염처리 관련 국내 특허출원은 초기에는 방염효과가 높은 무기염류 또는 할로겐원소를 포함한 방염제의 출원이 주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무기염류 방염제의 단점인 단청에 사용하지 못하는 점을 해결하고 방충 효과가 있는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해가 없는 다기능성 방염제의 출원이 늘고 있다. 특히 방염제의 성분에 대한 출원뿐만 아니라 방염제를 목재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출원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관계자는 “오는 4월에 복원돼 일반인에게 공개될 예정인 숭례문은 목재가 사용된 모든 부분에 방염처리를 하여 화재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희섭 기자 ssebi79@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