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에 공익으로 인력 땜질하는 소방청”직무교육 1주일 받고 바로 응급환자 이송업무 투입
[FPN 최누리 기자] = 군 대체복무 폐지에 따라 23년간 화재ㆍ구급 현장에 투입해 온 의무소방대원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 후 인력 재배치를 약속한 소방청이 별다른 노력 없이 사회복무요원으로 인력 공백을 땜질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제주 서귀포시)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국 의무소방대의 화재ㆍ구조ㆍ구급 등 소방안전관리 출동실적은 총 420만3527건에 달했다.
의무소방대 전환 복무 제도는 2001년 홍제동 주택화재 현장에서 소방공무원 6명이 순직한 사고를 계기로 부족한 소방인력을 보강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군 대체복무 폐지에 따라 지난해 6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소방 인력 부족에 따른 대응 공백 우려에 당시 남화영 소방청장은 “현장 대응에 차질 없도록 인력을 재배치할 계획이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소방청은 별도 인력 충원 노력 없이 사회복무요원을 투입해 인력 공백을 채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곤 의원실이 파악한 올해 사회복무요원의 응급환자 이송 지원 실적은 2만15건이다. 소방청은 그간 행정과 홍보ㆍ교육업무를 지원해 온 사회복무요원들이 현장에 나가게 된 올해부터 출동실적을 집계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사회복무요원의 현장 대응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소방청의 사업설명자료에 따르면 사회복무요원은 3주간의 기초군사훈련과 1주간의 소방 직무교육을 받은 뒤 곧바로 응급환자 이송 업무에 투입된다. 공개경쟁 시험을 거쳐 선발된 의무소방대원들이 기초군사훈련과 4주간의 중앙소방학교 소방 교육훈련을 이수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사회복무요원 배정 인원 자체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무 소방 인원 감축을 시작한 2020년 사회복무요원 신규 배정 인원은 840명이었으나 올해는 595명으로 약 29% 줄었다.
위성곤 의원은 “오래전부터 인력 공백 문제를 외면해 온 소방에 책임이 있다”며 “겨울철 응급 대란이 발생하기 전 구급 이송 등 현장의 인력 실태를 파악하고 보완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