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한파·대설·건조·풍랑 등 대처상황 - 피해현황(12.16.): (한랭질환자) 6명 ※ 질병관리청(한랭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한랭질환 누계(‘24.12.1.~’24.12.16.): 54명(사망 1명 포함)/(전년 동기) 55명(사망 없음) - 통제상황(05시): (여객선) 16개 항로 22척(인천~백령 등) (국립공원) 한라산 7개구간 - 조치사항:(행안부) 한파 특보 발표에 따른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12.17.), 12.17.~19일 강수·강설 대비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12.17.), 강설·강수·건조·강풍·풍랑 등 재난 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요청(NDMS), 한파·기온하강·결빙 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 대설로 인한 유형별 인명피해 예방대책 적극 추진 지시*(NDMS),겨울철 기온 급강하에 따른 난방용품 화재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12.17.), 화재·교통·선박·사업장등 최근 사고사례 전파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다중이용시설·아파트 화재 및 건조특보 대비 산불 예방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 대설로 인명피해 우려되는 유형(붕괴, 전도, 미끄러짐, 정체, 고립)에 대해 관계기관별 대책 및 중점관리 추진 (국토부·도로공사) 제설제 사전 살포 및 제설작업 실시 등 ※ 서해안선 등 16개 노선 작업연장 2,513㎞, 제설제 795톤 - (행정안전부) 자연재난실장, 겨울철 재난취약계층 현장점검(12.17.) 충남 아산시 한파 쉼터 및 한파 응급대피소 시설 운영 현황, 취약계층 보호대책 등 점검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 럼피스킨(LSD) 발생 없음(12.17.)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4.10.9.~) - 발생현황(12.17.): 가금 및 야생조류 없음 ※ 확진(누계): 가금 11건(전북 2, 전남 2, 인천 1, 세종 1, 강원 1, 충북 1, 충남 2, 경북 1), 야생조류 16건(경기 5, 전북 3, 제주 3, 충북 2 등) - 의사환축 발생(12.17.): 전북 부안군 주산면 육용오리 농장(32,000수) 출하 전 검사 과정에서 항원 확인 → H형 검사 중(12.18. 오전 중 확인 예상) - 조치사항: (농식품부·지자체 등) 초동 대응팀 투입 및 출입 통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주의’(전국, ’24. 12.6.~), ‘심각’(39개 시군, ’24.12.16.~) - 발생현황(12.17.): 양돈 및 야생 멧돼지 없음 ※ 확진(누계): 양돈49건(경기20, 강원19 등), 야생 멧돼지4,200건(강원1,925, 경북1,034, 경기676, 충북522, 대구 18 등) - 조치사항: (농식품부·지자체) 양주 농장 확진(12.16.) 관련 일시이동중지(12.16. 18:00~12.18. 18:00), 살처분(4,950두, 12.17.~) * 경기 양주·연천·포천·동두천·의정부·고양·파주(행안부) 현장상황관리관 파견(12.17.)
▲ 주요 사고 - (화재) ① 12.17. 12:27경/경기 포천시 가산면/섬유공장(3동, 2/0층, 1,132㎡)에서 발화 후 인접 공장으로 확산(완진 16:07)/공장 4동 전소, 집기류 등 소실 ※ 인명피해 없음(근무자 15명 자력 대피), 소방 대응 1단계(13:00~13:54), 재난문자 발송(13:00) ② 12.17. 15:56경/부산 기장군 기장읍/주거용 시설 신축 공사장(18/4층, 공정률 약 95%) 지하 1층 사우나실 천장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8:45)/경상 1명, 건물 일부 및 공사용 자재 소실 등 ※ 자력대피 및 인명구조 등 47명(단순 연기흡입 6명) /소방 대응 1단계(16:09~18:09) / 스프링클러 설비 작동 / 재난문자 발송(16:47) / 합동감식(12.18. 10:30 예정) - (산불) 경기 가평군상면(12:13~13:45)/0.02㏊ 소실, 원인 조사 중 ※ 제주시, 어선(135금성호) 침몰사고 실종자 추가 발견 없음(12.17.)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2회(응급환자1, 인명구조2, 화재진화2, 훈련비행7) / 1명(구급) ❖구급상황관리: 3,157회(의료지도 269, 대국민상담.지도 2,813, 이송병원선정 61, 헬기 3, 재외국민 11) ❖생활안전조치: 435회(동물처리 110, 비화재보확인 197, 잠금장치개방 46, 안전조치 28, 기타 54)
◇ 화재진압 ▲ (교육연구시설) 충북 제천시『○○○○학교』 - 08:21~08:31, 모듈러교실 배전반에서 전기적(접촉 불량) 요인에 의한 추정 화재, 배전반 소훼 및 3㎡ 그을음
▲ (교육연구시설) 대구 서구『○○○○학교』 - 11:36~11:47, 스팀컨벡션오븐 마그네트 연결 배선에서 전기적 요인에 의한 추정 화재, 마그네트 및 연결배선 소손
▲ (공 장) 경기 포천시『○○상가』 - 12:27~16:07, 섬유공장 내 원인 미상의 화재, 조사 중
▲ (공사장) 부산 기장군『○○○○메디타운 신축 공사장』 - 15:56~18:45, 공사장 102동 지하 1층 사우나실 천장에 원인 미상의 화재, 경상 1명, 단순연기흡입 6명, 발화 층 300㎡ 소실(그을음 900㎡) 및 공사용 자재 소실
▲ (복합건축물) 대전 중구『○○빌딩』 - 16:32~16:51, 거주자가 세대 내에서 흡연 중 부주의로 인한 추정 화재, 경상 1명
▲ (공 장) 전북 익산시『○○아이』 - 17:24~18:11, 태양광 전극을 도금하는 공장 내 원인 미상의 화재, 공장 내부 약 70㎡ 및 도금공정기계 1대 등 소실
◇ 구조/구급 ▲ (안 전) 경기 하남시『○○산성 인근』 - 09:43~10:21, 벌목 작업 중 작업자가 나무에 깔리는 사고, 사망 1명, 경찰 인계
12월 18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