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주)나인테코, 이동식 고발포기 폼 펌프 혼합장치 개발

화재 진화 2배 속도로 경제적 비용절감 효과도 뛰어나

광고
문기환 기자 | 기사입력 2005/12/10 [04:55]

(주)나인테코, 이동식 고발포기 폼 펌프 혼합장치 개발

화재 진화 2배 속도로 경제적 비용절감 효과도 뛰어나

문기환 기자 | 입력 : 2005/12/10 [04:55]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pressure side proportioner) 방식의 폼 펌프 혼합장치     ©

국내적으로 어려운 중소기업을 살리고 수입대체 효과를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2004년도 소방방재청 중소기업청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 사업에 (주)나인테코가 선정되어 축적된 기술력과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이동식 고 발포기와 폼 펌프 혼합장치를 개발했다.
 
(주)나인테코(이사 서정배)가 개발한 이동식 고 발포기와 폼 펌프 혼합장치로 이동식 고 발포기는 대구 지하철 화재와 같은 지하 공동구 화재시 물과 소화액(폼액)으로 거품을 발생하여 순간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모바일 화재진압 장치이고 폼 혼합기는 소화액(폼액)을 물과 혼합하는 장치이다.

이동식 고 발포기는 프레임에 엔진과 날개, 발포 노즐이 달려있는 구조로 이동과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방법이 간단하며 송배풍용으로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고 발포기에 발포망과 송풍관을 부착하여 주입구에 방수라인을 연결해 고 발포를 발생시키고 송풍관으로 고 발포를 화재 지점에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해 장착된 고 발포헤드 4개가 포수용액을 발포망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고 발포를 만들어주고 송풍관으로 화재지점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pressure side proportioner     ©
또한 튜브형 바퀴를 장착하여 충격을 흡수하므로 굴곡이 진 곳이나 계단 등을 이동할 수 있고 접이식 손잡이로 보관이 용이하며 자체 엔진을 사용하여 전선 및 발전기 등이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폼 혼합기는 기존 혼합방식인 펌프 프로포셔너(pump proportioner) 방식이 소화액(폼액) 낭비가 많고 환경오염이 되는 소화액(폼액)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국제적으로 소방차에 사용하지 않는 등 문제점이 대두되어 채택해 개발됐다.

폼액 혼합율은 메터링 밸브에서 수동으로 조정해야 되는데 이때 방수라인의 폼 관창을 순간적으로 잠그거나 호스가 꺽어졌을 때 순간적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펌프에 폼액이 흡입되어 물탱크까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채택한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은 정확한 비율뿐만 아니라 기존 벤츄리 원리 혼합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버튼을 한 번 누르는 것만으로도 포 소화약제 혼합비 0.2%~3%까지 설정된 비율에 의해 완전자동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했고 언제든지 버튼으로 사용 도중에 폼액 수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작동원리는 소방차펌프에서 방수가 시작되면 센서가 방수량 정보를 컨트롤러로 보내며 컨트롤러는 폼 펌프를 가동하여 원하는 방수량에 대한 일정한 비율로 폼액을 주입관에 혼합하도록 되어있다.

특히 class a폼을 사용함에 따라 친환경적인 원료를 사용하여 일반화재에 적용성이 매우 뛰어나며 고 발포 화재진압 방식으로 일반 폼 관창보다 발포배율이 10배까지 거품을 형성할 수 있어 화재현장에서 2배 이상 빠르게 진화할 수 있고 1%폼액으로 사용이 가능해 경제적으로 비용절감 효과가 높다.

서정배 이사는 “현재 프레져 사이드 프로포셔너 혼합 방식을 이용한 폼 혼합장치 기술이 미비하여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고성능 화학차 및 부품 수입대체 효과는 연간 최소 약40억에서 최대 약150억 정도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한편, (주)나인테코는 고객만족과 고객감동을 기업의 이념으로 신제품 신기술 개발을 통해 수입대체에 기여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1992년 8월에 설립되어 소방분야의 차량장착용 winch 및 구조장비를 생산, 제조, 판매하는 국내 최고의 업체로 자리를 굳히며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폼 펌프 혼합장치 관련기사목록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