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장남중의 로프 이야기] 테크니컬 로프레스큐 - 확보지점 시스템 I

장남중의 로프 이야기_ 다섯 번째

광고
강원소방학교 장남중 | 기사입력 2020/03/23 [13:00]

[장남중의 로프 이야기] 테크니컬 로프레스큐 - 확보지점 시스템 I

장남중의 로프 이야기_ 다섯 번째

강원소방학교 장남중 | 입력 : 2020/03/23 [13:00]

구조대원이나 요구조자를 내리기, 올리기 또는 확보하는 데 사용하는 모든 로프 시스템은 반드시 확보지점에 단단하게 고정해야 한다.

 

확보지점은 구조 대상을 지지할 수 있을 만큼 강해야 하고 최대 충격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확보지점을 선택할 땐 반드시 섬유 장비의 마모나 절단,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장비를 설치하고 조작해야 한다. 확보지점 선택과 로프 구조 시스템 설치는 그 자체가 곧 기술이다. 

 


참고 기준

미국 직업안전 위생관리국(OSHA), 미국 전문 로프 기술자 협회(SPRAT), 영국 산업 로프 엑세스 협회(IRATA) 같은 관련 전문 기준 심의기구 단체들은 5천lbs를 지탱할 수 있는 확보지점을 ‘최소한의 안전’으로 간주한다. 


 

구조대원이 구조물에서 구조 활동을 할 땐 중요한 구조물 일부를 확보지점으로 선택한다. 이때 기둥이나 보, 창, 엘리베이터 하우징 등을 확보지점으로 사용하는데 부식된 금속, 풍화된 석조물은 피해야 한다. 특히 통풍구나 물받이, 배수구, 굴뚝은 확보지점으로 좋은 장소가 아니다.

 

차량을 확보지점으로 사용할 땐 시동키를 빼고 브레이크를 잠근 뒤 휠을 꽉 고정해야 한다. 범퍼를 사용하지 말고 차축, 크로스 멤버 또는 견인 고리 등으로 차량 프레임에 직접 연결한다.

 

확보지점은 추락라인과 가까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원하는 곳에 위치하지 않거나 보이지 않는 경우 메인 확보지점의 방향을 구조작업이 가능한 위치로 집중시키는 높은 수준의 확보지점 구축 기술이 필요하다. 

 

확보지점은 신뢰할 수 없는 경우 구조 전체가 위험해지므로 로프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다. 확보 시스템에는 두 가지 주요 요소가 필요하다.

 

ㆍ 최상의 확보지점 선택

ㆍ 확보지점 선택ㆍ확보지점 시스템 구축을 위한 많은 연습과 경험

 

 
 
 
 
 

일반적인 원칙

ㆍ 확보지점 시스템은 중앙지점에 즉 구조 시스템에서 받는 힘의 방향과 일치하는 곳에 맞춘다.

 

ㆍ 다중 확보지점을 사용하는 경우 가능한 한 힘이 모든 확보지점에 걸쳐 적절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ㆍ 확보지점에 카라비너를 연결하는 웨빙의 각은 90° 이하로 한다.

 

ㆍ 하중이 카라비너의 긴 방향으로만 걸리도록 확보지점 시스템을 사용한다(박음질 된 확보 스트랩이나 스트랩의 사용은 종종 카라비너에서 ‘측면 하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이를 방지하도록 한다).

 

ㆍ 확보물에 확보지점 구성 요소를 훼손할 수 있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는지, 화학ㆍ석유 물질이 묻어 있는지 확인한다.

 

ㆍ 만져봤을 때 확보물이 뜨겁지 않은지 확인한다. 

 

ㆍ 확보지점이 튼튼하지 않은 것 같다면 다중 확보 시스템을 사용한다.

 

확보지점의 고려사항

1.자연ㆍ인공 확보지점

1)자연 확보지점

자연 확보지점은 확보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해 현장에 도착했을 때 이미 그 자리에 있는 확보지점이다. 바위나 나무 같은 물체를 자연 확보지점이라고 한다. 

 

2)인공 확보지점

인공 확보지점은 현장에 도착했을 때 존재하지 않는다. 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조대원에 의해 설치돼야 한다. 피켓이나 차량, 캠, 삼각대, 구조물 같은 물체나 시스템이 인공 확보지점의 예다.

 

2.강한ㆍ약한 확보지점

1)강한 확보지점

강한 확보지점은 구조 하중의 10배 이상을 견딜 거라고 누구나 믿는 단일 확보지점 중 메인ㆍ빌레이의 필요한 충격하중 모두를 지탱할 수 있는 확실한 확보지점을 뜻한다. 메인과 확보라인에서 전달되는 모든 힘을 견딜 수 있는 좋은 안전계수(10:1 이상)가 있는 확보지점이다. 충분히 강하다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야 한다.

 

 

2)약한 확보지점

약한 확보지점은 구조 하중의 10배를 견디지 못할 거라고 믿는 확보지점으로 전체 확보 시스템을 보강한다. 스스로는 확보지점 강도 전부를 지탱할 수 없고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해 여러 약한 확보지점을 이용한 다중확보 시스템 형태로 하나의 강한 확보지점을 만들어야 한다.

 

3.방향성ㆍ비 방향성 확보지점

1)방향성 확보지점

확보지점이 오직 한 방향에서 하중을 받을 때만 충분한 강도가 나올 때 이를 ‘방향성’ 확보지점이라고 한다. 반드시 정확한 직선 축을 따라 하중이 걸려야 하는 피켓(말뚝) 고정 시스템은 방향성 확보지점의 예다.

 

2)비 방향성 확보지점

확보지점이 어떤 방향에서 하중을 받던 충분한 강도가 나올 때 이를 ‘비 방향성’ 확보지점이라 한다. 콘크리트 고속도로, 고가도로 기둥은 공간 확보를 위해 비 방향성 확보지점으로 선택되곤 한다.

 

4.개방형ㆍ폐쇄형 확보지점

1)개방형 확보지점

개방형 확보지점은 매우 강한 확보지점일 수 있지만 확보지점이 미끄러지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 없다. 차량 진입 방지용 말뚝, 자동차의 트레일러 히치 등이 그 예다.

 



 

 

 

2)폐쇄형 확보지점

움직임을 제한시켜 미끄러질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해버린 외형을 갖춘 확보지점을 ‘폐쇄형’ 확보지점이라고 한다. 폐쇄형 확보지점의 예는 용접된 배관, 난간 시스템 등이다.

 

 

 

 

 

 

 

5.직접연결ㆍ간접연결 확보지점

1)직접연결 확보지점

로프 시스템을 형성하는 로프가 확보지점에 직접 매듭된다면 이는 ‘직접연결’ 확보지점이라고 한다. 직접연결은 단순함, 장비 보존, 강도 요인, 속도, 기술 수준 등을 이유로 사용된다.

 

시간이 부족할 때나 로프 강도를 완전히 이용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확보지점을 감기 위해 시스템 로프를 직접 사용하는 것은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직접연결 확보지점은 간접연결보다 좀 더 많은 매듭 기술과 장비 조작 능력이 필요하다.

 

 

2)간접연결 확보지점

로프 시스템이 확보지점에 연결된 각 장비에 설치된다면 이는 ‘간접연결’ 확보지점이다. 간접 부착물을 만드는 이유는 로프의 보존과 보호, 확보지점 강도, 기술의 수준일 것이다.

 

확보지점을 감싸기 위해 스트랩 또는 웨빙을 사용하는 건 진보된 장비 조작 기술 없이도 수많은 장비 조작의 선택을 늘릴 수 있다. 제작된 스트랩, 미리 매듭되거나 박음질 된 고리는 매듭을 이용하지 않고 비 방향성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확보지점을 감는 데 사용할 수 있다.

 

 

6.후방연결ㆍ전방연결 확보지점

1)후방연결 확보지점

후방연결 확보지점은 실제로 발생하는 방향의 힘, 역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확보지점을 말한다. 강하고 단단한 연결부를 만들기 위해 뒤쪽 다른 확보지점에 카라비너만 연결한(비작동) 도르래 시스템을 이용, 앞쪽 확보지점을 강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설치할 땐 확보지점에 영향을 미치는 힘의 방향에 맞춰 일렬로 해야 한다. 앞쪽에 있는 확보지점과 로프 시스템 각이 한쪽(추락라인)에서 15° 이내로 놓이는 게 적정하다. 만일 뒤쪽 대상물이 15° 이내에서 정렬되지 않는다면 앞쪽 확보지점에 다중 후방연결 시스템을 설치해야 한다.

 

다중 후방연결 시스템은 전체 안정성을 높이고 강도를 더한다. 비 방향성 기능으로 확보지점 위치를 확실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2)전방연결 확보지점   

플로팅 확보지점에 장력을 적용하는 동안 뒤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장자리 앞쪽 연결에 사용하는 확보지점이다. 강한 장력이 필요하지 않아 한 개의 코드 또는 웨빙으로 할 수 있다. 

 


확보지점 유형

1.단일 확보지점

1)랩3 풀2 


2)블리츠 확보지점 


3)무장력 히치 확보지점 

 

4)퀵 스트랩 확보지점   

박음질 된 웨빙 슬링이나 확보 스트랩을 사용하면 종종 카라비너가 ‘세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돼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해야 한다. 

 

 

5)확보지점 웨빙(로프)에 걸리는 힘   

확보지점 포인트에 웨빙(로프)으로 고리를 만들면 내부 각이 형성된다. 이 각도가 커지면 웨빙(로프) 각 측면의 힘이 세지고 90°를 초과하면 각 측면에 걸리는 힘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120° 각도에서 힘은 하중의 100%다.

 


2.다중 확보지점

1)분배 시스템 확보지점

다 지점 포인트를 이용해 이퀄라이징하는 확보지점이다. 하나의 확보지점 오류로 나머지 확보지점에 심각한 충격 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확보지점 분배나 균등화는 작업 중 힘의 방향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을 때만 사용한다.

 

이 분배  시스템 확보지점의 문제는 한 개의 약한 확보지점이 빠지면 시스템의 나머지 확보지점에 심각한 충격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 확보지점의 연쇄 반응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분배 시스템 확보지점의 다리를 가능한 짧게 유지하면 충격력 제거에 엄청난 도움을 준다. 분배 시스템 확보지점은 간소화해야 하고 반드시 확보지점에 대한 각도 영향을 준수해야 한다. 효율적으로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장 바깥쪽의 각도가 90˚보다 크면 안 된다.

 

분배 시스템 확보지점 다리들은 30cm보다 길면 안 되고 가능한 대칭형이어야 한다. 설치했을 땐 ‘V’ 또는 ‘W’ 모양으로 보여야 하고 연결된 매듭은 더 강한 확보지점 근처인 가닥 안쪽에 위치해야 한다. 

 

급하게 덜컥거리는 움직임은 분배 시스템 확보지점 장비의 자기-균등 기능을 압도하고 하중이 한 개의 약한 확보지점 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한 확보지점이 망가지면 과도하게 긴 분배 시스템 확보지점은 심각한 충격 하중을 받기도 한다.

 

 

2)고정 시스템 확보지점

매듭을 묶어 ‘고정’하고 모든 확보지점 포인트 간 균등하게 하중을 공유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확보지점. 하나의 확보지점이 실패하면 나머지 확보지점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 최소화된다.

 

고정 시스템 확보지점은 분배 시스템 확보지점과 공유 시스템 확보지점의 좋은 특성이 있으며 구조 작업이나 일반적인 장비 설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구조대원은 2×1, 3×1, 4×1 이상의 확보지점을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는지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은 2×1이며 다른 2×1과 함께 구축하는 게 가장 좋다. 이렇듯 완벽하게 설정하면 각 한계 확보지점에 동일한 양의 힘을 가할 수 있다. 50%:50%의 균등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45%:55%로 균등 확보가 돼도 된다. 매듭이 묶일 때 중심 다리가 종종 느슨해지므로 3×1 

 

 

▲ 후방 연결 확보지점 대각 범위 안에서는 비 방향성

 

▲ 이중 고리8자

 

▲ 스냅보울라인 되감기

▲ 스냅보울라인 되감기+이중시트밴드 되감기






 

 

 

 

 

 

 

 

 

 

 

 

 

 

 

 

 

 

 

 

 

 

3)공유 시스템 확보지점

단일 고정 확보지점에 두 개 혹은 여러 개의 힘을 모아 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확보지점이다. 공유 시스템 확보지점은 보통 측면 하중 움직임의 제한된 범위를 이용해 방향성 확보지점(오로지 한 방향으로만 강한 확보지점) 또는 부분적인 비 방향성 확보지점을 만든다.

 

힘을 균등하게 나눌 수 있는 다수의 확보지점 포인트가 있을 수 있다. 실제로 하나 이상의 확보지점 포인트가 대부분 하중으로 다른 확보지점을 백업할 수 있다. 하나의 확보지점 실패로 나머지 확보지점에 충격 하중이 발생할 수 있지만 공유 시스템 확보지점 장점은 시스템의 모든 느슨함을 줄이기 위해 조정된다는 것에 있다.

  

강원소방학교_ 장남중

 

<본 내용은 소방 조직의 소통과 발전을 위해 베테랑 소방관 등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2019년 5월 창간한 신개념 소방전문 월간 매거진 ‘119플러스’ 2019년 10월 호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장남중의 로프 이야기 관련기사목록
[인터뷰]
[인터뷰] “다양한 경험ㆍ조직 이해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 물결 만들겠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