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9기고] 누구나 할 수 있는 화재 초기 대응, 스프링클러 작동의 중요성

광고
김해동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교 박범영 | 기사입력 2025/01/08 [10:00]

[119기고] 누구나 할 수 있는 화재 초기 대응, 스프링클러 작동의 중요성

김해동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교 박범영 | 입력 : 2025/01/08 [10:00]

▲ 김해동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교 박범영

일상에서 자주 이용되는 공간인 주차장에서 차량 화재가 발생하면 폭발적 연소와 연소 확대로 인해 큰 위험이 따른다.

 

특히 매년 증가하는 주차장 차량 화재는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화재 초기 진압을 위한 스프링클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주차장에 설치돼 있는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는 화재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돕는 설비다.

 

그러나 최근 5년(2020~2024)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의 작동률이 15.6%에 불과하다는 통계는 자동 기동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화재 감지기가 고장나면 밸브가 열리지 않아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거나 교차회로 방식으로 설계된 두 개의 감지기가 동시에 화재를 감지해야 밸브가 열리기 때문에 작동이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기동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수동 기동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화재 초기 대응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실천사항을 권유하고자 한다.

 

첫째, 수동조작함의 위치를 숙지해야 한다.

 

화재 초기 대응을 위해 주차장 내 스프링클러 수동조작함의 위치를 반드시 파악해야 한다. 화재 시 신속히 기동 버튼을 눌러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면 초기 진화로 큰 재산피해를 막을 수 있다.

 

둘째, 관계인의 안전의식을 강화해야 한다.

 

화재 초기 대응의 핵심은 인명ㆍ재산피해의 최소화다. 자동 기동이 지연될 경우 관계인이 수동으로 기동해 초기 대응에 나서야 하기 때문에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의 작동 원리를 충분히 숙지하고 시설 유지ㆍ관리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주차장 화재 시 스프링클러의 수동 조작은 누구나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걸 방지할 수 있다. 모두가 화재 예방과 초기 대응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동참한다면 보다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작은 관심과 실천이 큰 안전을 만든다는 점을 기억하며 모두가 화재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함께 만들어 나가자.

 

김해동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교 박범영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광고
포토뉴스
[릴레이 인터뷰] “누군가의 생명을 책임지는 응급구조사, 윤리의식ㆍ책임감 필요”
1/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