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9기고] 겨울철 필수 전기장판의 두얼굴

광고
여수소방서 평여119안전센터 소방사 김동명 | 기사입력 2015/12/10 [15:08]

[119기고] 겨울철 필수 전기장판의 두얼굴

여수소방서 평여119안전센터 소방사 김동명 | 입력 : 2015/12/10 [15:08]

겨울이 다가오면서 창고에 넣어 두었던 전기장판을 꺼내고 있다. 보일러나 히터를 사용하기엔 아직 이른 감도 있고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해 전기장판을 많이 이용한다. 고된 하루를 보내고 와서 하루의 피로를 녹여 주는 전기장판은 우리에게 따뜻함을 제공해주지만 다른 한편에는 무시무시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장판으로 인한 화재의 근본적인 원인은 전기장판 안에 전선 피복이 벗겨지거나 줄이 꼬이면서 피복이 손상되어서 불이 나는 경우가 많다. 전기장판 내부는 이상이 생기기 전까지는 쉽게 볼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피복의 상태를 알 수 없다.

 

▲ 첫째, 전기장판을 구입 시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해야 한다.
가격을 따지는 것보단 내자신, 내가족이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 특히 온라인으로 제품을 구매할 경우에는 확인이 더욱더 어려운데 업체와 통화하여 반드시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꼭 확인해야 한다.

 

▲ 둘째, 집을 비울때는  전원을 끄고 콘센트를 뽑아야 한다.

전기사고의 예로 15년 2월에 익산시 아파트 불이 난 사고가 있는데 경찰과 소방 조사결과, 거실에 켜 놓은 전기장판에서 불이 난 것이었다. 집 안에 사람만 있었다면 초기대응으로 화재를 진압 할 수 있지만 사람이 없을 때는 건물 전체로 번지게 된다.  또한 요즘 센터에서 전기히터를 많이 사용하는데 각 센터에서는 출동 시 사무실을 비우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리 바쁜 출동이라도 반드시 온열기구에 대한 전기차단을 하고 출동해야 한다.

 

▲ 셋째, 전기장판과 같이 열선을 가진 전기제품은 보관 시에는 구겨서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전기장판은 열선으로 이루어진 전자기기다. 전기장판을 접거나 구겨서 보관할 경우에 접힌 부분의 열선이 끊이거나 손상 될 수 있으므로 둥글게 말아서 보관하거나  편 채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온도 조절기는 장판과 분리하여 줄이 접히거나 눌리는 부분이 없게 보관해야 한다.

 

▲ 넷째 ,전기장판 저온 화상을 입지 않도록 장시간 전기장판을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저온 화상이란 장시간에 걸쳐 열이 서서히 피부에 침투하기 때문에 겉은 괜찮아 보여도 피부조직이 죽게 되는 질병이다. 저온화상은 전기장판, 손난로, 스마트폰 등 우리생활에 꼭 필요한 곳에서 발생하므로 항상 주의를 기울어야한다.

 

추운 겨울이 다가온만큼 겨울철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따뜻하고 포근한 겨울을 보냈으면 한다. 그리고 매년 반복되는 전기장판에 대한 주의점을 보도하거나 교육해도 똑같이 화재가 발생하고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올겨울에는 전기장판에 대한 안전사고만큼은 없었으면 한다. 
                                       

여수소방서 평여119안전센터 소방사 김동명

광고
포토뉴스
[릴레이 인터뷰] “누군가의 생명을 책임지는 응급구조사, 윤리의식ㆍ책임감 필요”
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