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문화재 방재는 법과 제도적 기반 구축이 가장 우선돼야 한다”백민호 문화재방재 초대 학회장
[FPN 신희섭 기자] = “숭례문 화재 이후 문화재 방재에 관한 관심과 투자는 지속해서 늘어가고 있지만 기술과 설비적인 측면에만 너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정책 및 법제의 체계적 정비는 미흡한 편이다”
지난 2월 10일 새롭게 출범한 (사)문화재방재학회의 초대 학회장으로 선임된 백민호(강원대 재난관리전공 교수) 학회장이 강조하는 말이다.
학부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재난관리공학을 전공한 백민호 학회장이 문화재 방재에 관심을 두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2005년 강원도 양양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낙산사가 소실되는 사고를 접하고부터였다고 한다.
백민호 학회장은 “우리는 지난 2008년 국보 1호 숭례문을 화재로 잃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이후 문화재 방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크게 증가했지만 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문화재 방재의 범위와 적용성 문제는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오히려 국민의 문화재 보호활동 참여유도마저 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문화재방재학회가 출범하게 된 동기에 관해 설명했다. 숭례문 화재 이후 문화재 방재 분야의 학술활동단체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했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사회과학 분야, 자연과학 분야 등 방재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뜻을 모으게 됐다.
2011년 학회 창립 추진위원회가 설립된 이후에는 문화재 방재 연구모임과 향후 활동방향 등에 대한 논의를 지속해서 진행해왔다.
백민호 학회장은 “2016년 2월 10일 새롭게 출범한 학회는 문화재 방재에 필요한 시설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법과 제도, 교육 및 훈련 등 다양한 분야의 주제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연구와 토론 등을 통해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는데 노력할 것”이라며 “사회적으로도 중요성이 두드러지고 있는 문화재 방재 분야의 발전에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또 “문화재 관리의 주무관청인 문화재청과 문화재 방재 아카데미도 개최할 예정”이라며 “문화재 방재 안전 활동을 지속해서 펼쳐 국민들에게 안전문화 의식이 퍼질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과거와 달리 최근 들어 발생하고 있는 재난의 유형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방재 분야의 대다수 전문가는 재난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는 노력을 지금처럼 정부만 펼치게 된다면 분명 한계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백민호 학회장 역시 이들과 같은 의견이다. 문화재 방재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방재활동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만이 아닌 민ㆍ관ㆍ학 협력의 관점에서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국민은 문화재를 과거와 현재를 잇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에 관심을 두고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야 하며 학계 역시 문화재 방재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활동을 통해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고 발전에 일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행정 분야에서는 문화재 방재가 시민들의 삶 속에서 상충하지 않고 조화될 방안을 끊임없이 마련하고 이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며 “각종 문화재 방재 활동에 있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자면 효율적인 문화재 방재를 위해서는 민ㆍ관ㆍ학 연계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방재의식을 향상해야만 문화재 방재 분야의 발전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한편 학회는 출범 기념식에 이어 지난 4월 2일 두 번째 외부 공식 행사를 개최했다. 국민의 문화재 방재의식을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안전 캠페인과 워크숍을 실시한 것이다.
백민호 학회장은 “우리나라 4월은 산불로 인한 문화재 소실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라며 “이번 캠페인은 ‘산불과 문화재 방재 지역사회 안전홍보’를 주제로 강원도 삼화사 일대에서 문화재청과 강원대학교, 국유림관리소, 한국전력, 동해소방서, 시민단체 등이 참여했다”고 말했다.
신희섭 기자 ssebi79@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