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2016 국감] 국감 도마 위 오른 공기호흡기 이물질 논란

광고
최영 기자 | 기사입력 2016/10/10 [08:54]

[2016 국감] 국감 도마 위 오른 공기호흡기 이물질 논란

최영 기자 | 입력 : 2016/10/10 [08:54]
▲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진선미 의원     © 이재홍 기자


[FPN 최영 기자] = 7일 열린 국민안전처 국감에서는 최근 발생한 공기호흡기 이물질 발견 사태도 도마 위에 올려졌다.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은 “소방관의 생명 줄인 공기호흡기에서 하얀 알갱이가 나왔음에도 아직까지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며 “4천여 개를 전수조사해서 555개에서 문제가 나왔는데 원인을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3,500개를 현장으로 다시 보냈다”고 주장했다.


이에 조송래 본부장은 “이물질이 발견된 것은 사실이나 흡입 여부 실험을 의뢰한 결과 흡입되지는 않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의원은 “왜 안전처가 기업에 끌려 다니는지 모르겠다”며 “어쨋든 간에 호흡하는 경로 안에 여전히 생길 여지가 있고 막연한 위험이 있는 것인데 이상 없는 물품으로 바꿔달라고 왜 말을 못하나, 제대로된 제품이라면 이물질이 발견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따져 물었다.

 

▲ 진선미 의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최웅길 한국소방산업기술원장    

그러자 조송래 중앙소방본부장은 “일부는 이물질이 원래 발견돼서 호흡보호장비정비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답하자 이 의원은 “그럼 이물질이 있는 채로 사용해도 된다는 얘기인가”라고 말을 자르며 “소방관의 안전이 위태로운데도 국민안전처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으니 업체 대표이사를 종합국감 시 증인으로 요청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은 해결 방안 마련을 위한 빠른 원인 규명을 촉구했다. 진 의원은 “지금 한국소방산업기술원과 중앙소방본부의 원인 분석이 일치하지 않는다”며 “기술원은 공기충전기 필터에 다른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지 않는가”라고 묻자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최웅길 원장은 “우리가 단정하고 있지는 않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장기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진 의원은 “대안을 만들려면 원인 규명이 제대로 돼야 한다”며 “안전처가 중심이 돼서 소방산업기술원과 제조사가 모여 빠르게 규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또 “공기호흡기의 충전기 노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장관이 신경 써 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최영 기자 young@fpn119.co.kr

 

공기호흡기 이물질 관련기사목록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