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N 박준호 기자] = 화재 초기 대응 설비 구축이 부실해 전통시장이 화재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의원(광주 서구갑)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2018년 전통시장 화재안전점검 소방분야 종합결과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소화기는 전통시장 내 설치대상 점포 총 4만4635개 중 36.77%인 1만6413개만 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식 소화 설비인 자동확산소화기 역시 5058개 중 2056개만 설치돼 있었다.
송갑석 의원은 “정부가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에 들인 예산은 총 2500억원에 달하지만 전기와 가스ㆍ소방ㆍ화재방지 등 안전시설에 투자한 금액은 327억원에 불과했다”며 “전통시장은 점포들이 밀집돼 있어 화재 시 대형 인명피해로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또 “최근 동대문 제일평화시장도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초기 진압을 위해 개별 점포 소화기와 자동확산소화기 보급률을 높이고 스프링클러 등 무인 화재 진압설비의 보급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의 예산이 편의시설에만 집중되고 안전에는 소홀한 측면이 있다”며 “안전점검과 시설 개선 비중을 높여 사고 화재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한다”고 전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