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이항준의 소방내진] Run 구간의 의미와 전반적인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배치

광고
이항준 소방기술사(에듀파이어기술학원장) | 기사입력 2022/07/25 [17:09]

[이항준의 소방내진] Run 구간의 의미와 전반적인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배치

이항준 소방기술사(에듀파이어기술학원장) | 입력 : 2022/07/25 [17:09]

‘2022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해설서(이하 “해설서”라 한다)’ 제3조(정의)에 대한 해설은 개념 정리에 대한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 배관은 Run 구간으로 표현하고 있다.


Run 구간은 단부로 꺾이기 전까지 직선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 3.7m 이내의 상쇄배관(Offset, 엘보에 의해 단부로 꺾이지만 짧은 구간이기에 이를 상쇄해 직선으로 보는 구간)을 포함하며 버팀대 설치를 위해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에는 전반적으로 수평직선배관과 수직직선배관으로 구분했으며 수직직선배관은 다음과 같이 정리돼 있다.


1. 수직직선배관(Riser): 옥내소화전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 수직배관으로 흔히 입상관을 말한다.


2. 시스템수직직선배관(System Riser): 스프링클러설비의 유수검지장치 등이 설치된 수직배관을 말한다.


3. 수직직선배관 니플(Riser Nipple): 교차배관과 가지배관이 연결되는 수직직선배관으로 주차장 등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설비 수평주행배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반적인 버팀대 설치를 위해 배관에 대한 기준을 정리해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에 적용하기 위한 개념 잡기로 볼 수 있다.


다음에는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에서 다루지 않았던 정의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볼까 한다.


이항준 소방기술사(에듀파이어기술학원장)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