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N 최누리 기자] = 동국제강은 한국신용평가로부터 기업신용등급을 기존 BBB(긍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상향 조정 받았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동국제강은 지난해 3월 주주총회를 통해 2026년까지 신용등급 A등급 회복을 목표로 제시했다. 동국제강 신용등급은 목표 제시 후 1년 반 만에 전망 상향ㆍ등급 상향을 거쳐 BBB-에서 BBB+로 상승했다. 이는 장기 목표에 기인한 지속적인 재무 구조 개선의 성과라는 게 동국제강 설명이다.
한국신용평가는 동국제강 기업신용등급 조정 요인으로 ▲견조한 이익창출력과 재무구조 개선이 지속된 점 ▲업황 저하에도 영업현금흐름 기반 재무안정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점 ▲계열 관련 우발 채무가 해소될 수 있는 점을 들었다.
‘견조한 이익창출력과 재무구조 개선 지속’의 근거로는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외형ㆍ이익창출력 개선이 지속되고 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둔화ㆍ원료 가격 하락 등으로 봉형강 사업 수익성이 높아진 점을 꼽았다.
‘업황 저하에도 재무안정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 점’의 경우 글로벌 경기 하락에 기인한 부동산경기 침체 흐름은 건설산업 의존도가 높은 동국제강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나 수위의 시장 지위와 제품다각화를 기반으로 실적 변동성을 보완하고 있으며 후판 사업 이익 개선으로 양호한 이익창출력을 실현할 것으로 판단했다.
한국신용평가는 동국제강 연결기준 순차입금이 2019년 2조2476억원에서 2022년 6월 말 1조6084억원까지 줄었으며 하반기 부정적 외부 환경에도 원재료ㆍ제품가격 하락에 따른 운전자금 감소가 이를 상쇄해 자체 창출 현금 안에서 차입금을 상환하는 선순환 구조가 유지될 것으로 분석했다.
‘계열 관련 재무 부담 완화’의 근거로는 동국제강 중국법인(DKSC, 동국스틸차이나) 지분 매각과 브라질 CSP 제철소 매각 진행을 들었다. 동국제강은 지난 6월 중국법인 지분 90%를 매각하며 약 3천만 달러의 채무보증을 해소했다. 브라질 CSP의 높은 채무 상환 부담을 감안할 때 매각 완료 시 잠재적 재무 부담을 크게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신용평가는 동국제강이 봉형강ㆍ냉연 분야 실적을 유지하고 영업현금흐름으로 차입금을 경감해 연결기준 EBITDA/매출액 지표가 10% 이상 유지, 총차입금/EBITDA 지표가 2배 미만으로 낮아질 경우 추가적인 신용등급 상향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상반기 동국제강 EBITDA/매출액 지표는 13.9%이며 총차입금/EBITDA는 1.8배다.
동국제강은 장기 목표인 신용등급 A로의 회복을 목표로 수익성 위주의 영업ㆍ생산을 지속하는 한편 부채비율 개선, 차입금 경감 등 재무안정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동국제강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