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9기고] 설 명절 화재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알아보자

광고
노원소방서 홍보교육팀 소방사 서지원 | 기사입력 2025/01/20 [13:00]

[119기고] 설 명절 화재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알아보자

노원소방서 홍보교육팀 소방사 서지원 | 입력 : 2025/01/20 [13:00]

▲ 노원소방서 홍보교육팀 소방사 서지원

다가오는 설 명절에 우리 모두는 소중한 가족과 일상을 지키기 위해 화재 예방에 더욱 관심을 갖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간 설 연휴 기간 동안 총 2572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35명이 숨지고 127명이 다쳤으며 약 21억3천만원의 재산피해가 나왔다.

 

인명피해의 24.5%는 오후 1시~4시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는데 원인으로는 쓰레기 소각, 아궁이 관리 소홀 등 부주의가 가장 많았다.

 

전국 소방서는 설 명절을 대비해 화재예방대책을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번 지면에서는 건물 화재 시 인명ㆍ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행동 요령을 강조하고자 한다.

 

먼저 대피가 가능할 때 취해야 할 행동이다.

 

대피가 가능하다면 젖은 수건 등으로 입을 막고 계단을 이용해 지상층이나 옥상으로 대피한 후 119에 신고해야 한다. 대피 시에는 반드시 출입문을 닫고 승강기는 이용하지 않는다.

 

이때 정전과 유독가스, 연기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안전한 대피를 돕는 게 바로 ‘피난 유도등’이다.

 

피난 유도등에는 피난구 유도등과 통로 유도등, 객석 유도등이 있다. 피난구 유도등은 비상구 위에 설치돼 탈출구를 알려준다. 통로 유도등은 거실, 복도, 계단 등에 설치돼 비상구 위치를 알린다. 객석 유도등은 영화관이나 공연장 바닥에 설치돼 비상구 방향을 안내한다.

 

익숙하지 않은 장소를 방문할 때 피난 유도등의 위치를 미리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 화재 시 피난 유도등을 따라 침착하게 대피하면 안전하게 탈출구를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한 행동 요령을 알아보자.

 

집안에서 화재가 발생해 화염과 연기가 유입돼 대피가 불가능하다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 안전한 장소에는 대피 공간과 경량 칸막이, 하향식 피난 기구 등이 해당된다.

 

또 화염과 연기로부터 멀리 이동한 후 문을 닫고 젖은 수건 등으로 문틈을 막은 뒤 119에 신고하여 구조를 요청해야 한다.

 

화염과 연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집 안에서 대기하며 창문을 닫고 화재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

 

이후 119 상황요원의 지시나 안내 방송에 따라 침착하게 행동하는 게 중요하다.

 

이번 설 명절에는 철저한 화재 예방과 함께 앞서 소개한 대처 방법을 숙지해 안전하고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하자.

 

노원소방서 홍보교육팀 소방사 서지원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