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세월호 사고 지원을 나갔던 소방헬기의 추락 사고로 순직한 소방관 5명의 유족과 동료들이 19일 강원도 춘천 합동분향소를 찾은 정홍원 국무총리에게 소방관 처우를 개선해 달라고 눈물로 호소했다고 한다.
일부 소방대원은 정 총리 앞에 무릎을 꿇고 “총리님, 도와주십시오”라고 애원했다는 소식은 안타까움을 넘어 우리를 죄스럽게 까지 한다.
정 총리는 “뜻을 잘 알겠다”며 “국가안전처가 신설되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지만 정작 정부는 예산문제 등으로 반대하는 입장이다.
그 이유가 가관이다. 지방소방직공무원을 국가직으로 전환했을 때 인건비로만 들어가는 예산이 정부 소방예산의 70~80%를 차지하기 때문에 정부가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돈 때문에 그렇다는 것인데 이게 말이 되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실상은 그게 아니고 지방직일 때는 지자체 장이 맘껏 부리던 소방직들이 국가직으로 전환 됨으로 인해 맘대로 부릴 수 없다거나 혹은 그놈에 정치 싸움으로 인한 희생양은 아닌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봐야 할 때다.
소방관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각 지자체의 소방공무원들은 재정 여건에 따라 인력보충이나 장비 구입 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방관 그들이 도대체 무엇을 그리 잘못했기에 문상 온 총리 앞에 무릎을 꿇고 빌어야 할 정도로 처참한 처지가 되어야 한단 말인가?
지난 달 12일 ‘소방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의원은 국가직과 지방직으로 구분된 소방공무원을 국가직 공무원으로 일원화해 국가가 재해를 예방하고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다 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소방방재청도 국가직 전환에 동의하고 있는 입장이고 전국에 4만여 소방관들은 이미 국가직으로의 전환요구 서명에 동참한 상태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전체 소방공무원 중 소방방재청 소속 300여명만 국가직으로 구성돼 있고 지자체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은 본부장 1명만 국가직이라는 사실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알고 싶다.
또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소방관 한 명이 담당하는 국민은 1,200명이 넘는다. 일본은 820명이고 미국 1,075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장비 또한 열악하긴 마찬가지다. 인력부족에 장비 난까지 겹치니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로 인해 한 해 300명의 소방관들이 다치거나 숨진다.
소방관들을 더 이상 위험한 상황에 방치해둬서는 안 된다. 소방공무원의 처우를 개선하고 장비를 현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이는 우리 소방인 뿐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나서야 한다.
또한 이런 처지에도 목숨을 걸고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몸을 던지는 소방관이 한둘이 아니라는 사실을 정책권자들은 인지해야 한다.
헬기사고로 인한 순직에 비번 날 화재현장에서의 순직 등 이러한 소방관 그들이 도대체 무엇을 그리 잘못했기에 정책권자들이 기를 쓰고 국가직으로의 전환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려는지 도대체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