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시 소방차 진입 불가 전국 1356개소 달해이재정 의원 “대형 인명 피해 막으려면 정비 시급”
[FPN 배석원 기자] = 국회 행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국회의원(비례대표)이 지난 13일 소방청에서 제출한 ‘소방차 진입 불가 및 곤란 구간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재정 의원에 따르면 2018년 상반기 기준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지역은 전국적으로 1356개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주거 지역은 972개소로 전체의 70%를 차지했으며 상업지역은 298개소, 농어촌산간은 57개소였다. 총 구간 길이만 534km에 이른다.
더 큰 문제는 소방차 진입 불가ㆍ곤란 구간에 대비한 비상소화장치의 설치율도 저조하다는 점이다.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된 지역은 단 715개소로 설치율이 52.7%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창원(31.6%)이 비상소화장치 설치율이 가장 낮았고 부산(33.1%)과 인천(41.9%)이 그 뒤를 이었다.
소방차량 진입 불가ㆍ곤란 구간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644개소)로 나타났다. 이어 부산이 (181개소)과 인천(129개소) 등의 순이다.
많은 인파가 몰리는 전통시장의 소방차량 진입 곤란 구간은 올해 6월 기준 183개소로 서울이 73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인천 24개소, 충남 20개소 등으로 집계됐다.
이재정 의원은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해 화재를 진압하고 인명을 구하는 소방차량이 진입조차 못 하는 구간이 전국적으로 1300여 개소가 넘는다”며 “우리사회가 아직도 안전에 취약한 사회임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힘을 모아 소방차량 진입 불가ㆍ곤란 지역 정비를 빠르게 이행할 필요가 있다”며 “장소의 특성상 불가피한 지역은 반드시 비상소화장치 등을 완비토록 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석원 기자 sw.note@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