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에는 연료와 내장재 등 가연물이 많아 화재 시 연소 확대가 빠르다. 초기 진화에 실패하면 순식간에 차량 전체로 연소가 확대될 우려가 커 비치된 차량용 소화기를 사용한 초기 진압이 중요하다.
차량 화재는 운행 중 엔진 과열, 교통사고 등 여러 요인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화재 특성상 도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소화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신속한 대처로 인명ㆍ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한 ‘차량용 소화기’ 비치가 필수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작년 7월까지 7년간 차량 화재는 3만784건으로 하루 평균 13건이 발생했다. 이 중 5인승 차량이 47.1%를 차지했다.
종전 규정에는 소화기 설치 의무가 7인승 이상으로 돼 있어 5인승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초기 대응을 못 해 대부분 전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는 차량 화재로 인한 인명ㆍ재산피해 예방을 위해 5인 이상 모든 차량이 ‘차량용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작년 국회 본회의에서 소방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률안이 통과됨에 따라 차량용 소화기 설치 기준이 7인승 이상 의무설치에서 5인승 이상으로 확대되고 자동차 정기검사 시 소화기 설치 여부와 작동상태 점검을 함께 실시하는 등 자동차 화재 대비 안전관리가 강화된다.
차량용 소화기는 대형마트나 인터넷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하다. 자동차 주행 환경을 고려한 진동 시험까지 모두 통과한 소화기만이 차량용 소화기로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자동차 겸용’ 표시가 있는 소화기를 구입해야 한다.
나주소방서 이창119안전센터 소방장 조기용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