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화재안전조사 시행률 5%… 2019년의 ‘반의반 토막’ 수준이형석 의원 “조사 비율 높이고 불량대상 추가 조사해 화재 안전 확보해야”
[FPN 박준호 기자] = 지난해 소방청이 주관하는 건축물 화재안전조사 시행률이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한 대상에서 불량 비율이 절반 가까이 나온 곳이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화재안전조사는 소방청이 아파트와 위험물 저장ㆍ처리 시설, 공장, 의료시설, 복합건축물 등의 소방시설 적법 설치ㆍ관리, 화재 발생 위험 등을 확인하는 현장 조사활동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형석 의원(광주 북구을)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소방청이 시행한 화재안전조사는 대상 157만1351개소 중 5.6%에 불과한 8만7220개소에서만 이뤄졌다.
2021년(3.9%)과 2020년(4.2%)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2019(22.1%), 2018년(14.2%)에 비해선 크게 떨어졌다. 코로나19 시기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영향 때문이라는 게 이 의원 분석이다.
화재안전조사는 지역별로도 비율 차이가 심했다. 전북이 20.5%로 가장 높은 반면 경기북부는 2.9, 울산 2.6, 부산 2.3, 대전은 1.5%에 불과했다.
조사결과 불량 비율도 높았다. 울산은 941개소 중 절반에 가까운 440개소에서 불량사항이 적발됐다. 부산 36.5, 전남 30.6, 충북 29% 등 전국적으로 불량 비율은 15%에 달했다.
이형석 의원은 “화재안전조사 불량률이 최대 47%까지 나오고 있지만 시행 비율이 매우 낮고 지역별 조사 편차도 크다”며 “점검비율을 높이고 불량사항이 많이 적발된 곳은 추가 조사를 통해 화재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