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2023 소방청 국감] 용혜인 “소방청, 오송 참사 책임 회피 위해 허위 자료 꾸몄다”

광고
박준호 기자 | 기사입력 2023/10/13 [23:59]

[2023 소방청 국감] 용혜인 “소방청, 오송 참사 책임 회피 위해 허위 자료 꾸몄다”

박준호 기자 | 입력 : 2023/10/13 [23:59]

▲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13일 소방청 국정감사에서 남화영 소방청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 최누리 기자


[FPN 박준호 기자] = 소방청이 14명이 숨진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국회에 허위보고를 하는 등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13일 소방청 국정감사에서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 당시 소방의 긴급구조통제단 가동 시점을 문제 삼았다.

 

용 의원에 따르면 오송 참사 당일 청주서부소방서 현장상황판엔 긴급구조통제단 가동 시간이 오전 6시 30분으로 기록됐다. 18보까지 이어진 구조ㆍ구급 상황보고서에도 긴급구조통제단 가동 시점은 오전 6시 30분으로 돼 있고 이 문건은 국무총리실을 거쳐 대통령실에까지 보고됐다.

 

그런데 참사 한 달 뒤인 지난 8월 용혜인 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간대별 조치사항엔 긴급구조통제단 가동 시간이 오전 6시 30분이 아닌 ‘오전 10시 4분’으로 돌연 변경됐다.

 

청주서부소방서장이 소방서 단톡방에 올린 ‘통제단 가동’ 문자메시지 전송 시각이 10시 4분이란 게 근거였다. 소방청은 오전 6시 30분인 긴급구조통제단 가동 시점은 ‘직원이 잘못 보고한 것’이라고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는 소방청이 참사에 따른 법적 책임을 피하기 위한 행동이라는 게 용 의원 주장이다.

 

용 의원은 “당시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은 대응 1단계와 동시에 긴급구조통제단을 운영하도록 했다”며 “오송 참사 당일 오전 6시 25분 대응 1단계가 발령됐기 때문에 부분 긴급구조통제단 가동도 당연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소방청은 2021년 대응 1단계 발령 시 부분 통제단을 운영하라는 지침도 내렸다. 청주서부소방서는 법령과 지침에 따라 철저히 수행한 것”이라며 “10시 4분은 소방서장이 현장에 출동하면서 전면 긴급구조통제단을 가동한 시각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시 30분이라고 잘못 보고한 직원이 누구냐고 묻지만 석 달째 묵묵부답이다”며 “참사 이전에 긴급구조통제단이 가동되고 있었다면 법적 책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허위 자료를 꾸미는 등 말을 바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남화영 소방청장은 “제게 보고가 안 된 부분이라 정확한 건 알 수 없다. 검찰 수사에서 다 밝혀질 거로 생각된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서정일 청주서부소방서장은 “당시 초기에 긴급구조통제단 가동을 상황실에 보고했던 직원은 불분명하다”고 답변하자 용 의원은 “소방의 주장을 신뢰하기엔 의문점이 너무나 많다”며 “위원장님과 양당 간사님들께 오송 참사 국정조사와 이 사안에 대한 감사원 감사 청구를 정식 논의해 주시길 요청드린다”고 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