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원장 김남덕, 이하 승관원)은 2일 승강기안전 체험교육을 받은 6세이하 미취학 아동 269명을 대상으로 안전사고 발생시 대처능력을 조사한 결과 전체 답변자 중 92.8%가 인터폰으로 연락 후 기다린다, 화재시 비상계단을 이용한다 등과 같은 ‘이용자 준수사항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반면, 체험교육을 받지 않은 아동 151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항목을 물어본 결과 20.7%만이 기본적인 대처방법을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리서치 전문기관인 한국산업연구소가 지난 1년간 ‘승강기 안전체험’ 교육을 받은 미취학 아동 및 받지 않은 아동 총420명을 대상으로 비교ㆍ분석한 결과다. 승관원은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이동이 가능한 ‘승강기 안전체험’ 시설을 올해 안에 추가로 제작해 교육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산간벽지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체험교육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승강기 안전체험관’은 바닥에 롤링장치가 설치돼 있어 승강기 갇힘사고 체험 및 안전탑승에 대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설계됐으며 한번에 15명이 동시에 탑승할 수 있다. 김남덕 원장은 “승강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조기 체험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재밌고 흥미로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219개 4만여명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 복지센터 어린들이 ‘승강기 안전체험관’을 방문해 체험교육을 받았다. 유은영 기자 fineyoo@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