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국 사찰ㆍ목조문화재 3천303곳 소방검사

광고
관리자 | 기사입력 2005/04/23 [00:00]

국 사찰ㆍ목조문화재 3천303곳 소방검사

관리자 | 입력 : 2005/04/23 [00:00]
산불 방화안전기준 보강..대책회의 정례화

소방방재청은 지난 5일 강원 양양군 낙산사화재를 계기로 비슷한 화재 사고의 예방
을 위해 전국의 전통사찰과 목조문화재 3천303곳에 대해 특별 소방검사를 실시한다
고 18일 밝혔다.
문화재청 및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번 소방검사는 전국사찰 1천
960곳과 목조문화재 1천343곳을 대상으로 다음달 10일까지 실시된다.
현재 전국에는 경북 500곳, 경기 429곳, 경남 325곳, 서울 301곳, 대구 296곳, 부
산 283곳, 강원 234곳, 충남 193곳, 전남 193곳, 충북 166곳, 전북 120곳, 인천 80
곳 등 총 3천303곳의 사찰 및 목조문화재가 있다.
주요 점검대상은 소방시설 및 소화용수의 관리 상태, 연등이나 촛불 등의 관리실태,
산불 예방 및 화재시 초기 진화 방안, 인화성물질 등 주변의 화재 발생 위험요인 제
거 여부 등이다.
소방방재청은 또 전국의 주요 사찰과 목조문화재에 대해 건물 내부 화재, 주변가연
물 화재, 산불 등 다양한 화재 상황별로 진화 및 중요 문화재 반출 훈련을 실시할 계
획이다.
화재 발생시 소방차 접근이 어려운 사찰의 특성상 자위소방대 편성과 화재 진압용 소
방용수 확보, 목재 방염처리,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 등도 전국 주요 사찰에 권장
할 방침이다.
산불 방화안전기준도 보강해 사찰 건물과 주변 산림 사이 안전거리 확보, 사찰사방
산림지역내 방화선 구축, 건축물 주요 구조 불연화 등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산림청
등과 협의할 방침이다.
소방방재청은 앞으로 문화관광부, 문화재청 등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사찰 및 목조문
화재에 대한 방화대책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할 방침이다.
지난 5일 강원 양양군 낙산사 화재에서는 동종, 칠층석탑, 사리탑 등의 문화재가 소
실됐으며, 2003년 9월 30일 강원 원주시 구룡사 화재에서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24
호인 대웅전이 소실됐었다.
목조문화재 관련기사목록
광고
포토뉴스
[릴레이 인터뷰] “누군가의 생명을 책임지는 응급구조사, 윤리의식ㆍ책임감 필요”
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