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장관 이만의)는 화학사고나 테러 현장의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1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최첨단 화학물질 분석 특수차량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최첨단 화학물질 분석 특수차량에는 사린과 포스겐, 시안화물 등 41종의 화학물질을 분석 할 수 있는 6종의 측정ㆍ분석 장비와 기상관측설비가 장착돼 있다. 이 차량은 사건현장에서 신속하게 화학물질 분석이 가능하고 실시간 기상모니터링에 의한 화학물질 확산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고대응과 방재활동을 지원하게 된다. 또, 오염물질을 자동 흡입ㆍ분석하는 장치와 외부 공기의 차내 유입을 차단하는 양압시설, 긴급 제독설비를 구비함으로써 화학물질 누출 사건현장에서도 외부의 유독성 물질로부터 요원을 완벽하게 보호함은 물론 사고 물질 분석이 가능토록 하는 등 최첨단 설비를 갖추고 있다. 환경부가 이 같은 차량을 도입하게 된 목적은 4만여 종의 화학물질이 국내 유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화학사고 발생 시 원인물질이 식별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방서 등 초동대응기관의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특수차량을 화학테러ㆍ사고 발생지역과 화학테러ㆍ사고 대비가 필요한 곳에 배치해 지원활동을 수행함은 물론, 대응요원 교육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6월 개최되는 ‘한ㆍ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기간 중 현장에 전진 배치해 안전 활동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지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화학물질 운반차량의 전복사고와 사업장 내 폭발ㆍ유출 등의 화학 관련 사고가 총 344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유은영 기자 fineyoo@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