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예산을 낭비하는 무선페이징 사업은 폐지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선 소방관들에게 설문조사를 한다면 무선페이징 제도를 폐지하자는 의견이 99%정 도 될 것입니다“ 한 소방파출소에 근무하는 a씨의 말이다. “더 이상 탁상행정의 표본인 무선페이징을 폐지하고 차라리 그런 예산으로 독거노인 들에게 생활용품을 공급한다면 소방이미지 제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소 방업무도 개혁을 해야 만이 국민들로 하여금 더욱 깊은 신뢰를 얻을 수 있다“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미 이미 보급된 무선페이징의 수량이나 업무의 연속성, 정책집행의 책임 등을 따져볼 때 폐지는 불가능하며, 이에 따른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 다. 대부분의 무선페이징에 대한 업무가 기기점검, 고장신고 시 교체 등인데 이를 합리적 으로 개선한다면 관련 업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도 있다는 것. 소방관 b씨는 “컴퓨터를 a/s하는 대기업들의 제도를 벤치마킹해보면 컴퓨터가 고장 나서 전화하면 컴퓨터 기사가 집으로 오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 전화로 해결하고 있 는 추세”라며, “요즘 대부분 랜이 깔려있으니 원격으로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 접 방문하는 일은 거의 없다”고 전하며, “그렇지만 무선페이징의 수혜자가 대부분 노인들인데다가 혼자 사는 사람들이라서 전화로 어떻게 조치를 하라고 말한다는 것 은 무리가 있다”고 지적하며, 대신 “무선페이징이 항상 전화선에 물려 있다는 것 을 활용, 기기고장이나 기기를 전화선에서 떼어낼 때 상황실에 자동으로 신호가 보내 지게 해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때만 나가서 점검하도록 하고, 전체적인 정기점검은 1- 2년에 한번으로 한정하되, 본서 구급계에 무선페이징 전담요원을 배치해서 그들이 직 접 점검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