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오면 산에는 하나둘씩 아름다운 단풍들이 자태를 뽐내며 새로운 계절이 왔음을 알린다.
가을이 되면 전국 어디에서나 산불 관련 소식이 들려온다. 날씨가 건조해지는 가을철에는 산불 예방 수칙을 꼭 지키고 올바른 방법으로 대처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
그러면 가을철 산불 원인과 예방 등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가을철 산불 원인은 등산객 또는 담배, 논ㆍ밭두렁 소각, 불장난 등 여러 가지로 다양하다. 산불은 가을철이 아니어도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가을철 산불 방지를 위해선 가장 기본적인 예방 수칙을 미리 알고 지켜야 한다. 등산객은 산행 시 라이터, 담배, 버너와 같은 인화물질 소지하면 안 된다. 산불 위험 통제ㆍ폐쇄 지역의 입산은 금지한다.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는 논ㆍ밭두렁 소각을 하면 안 된다. 허용 지역 외에는 캠핑, 야영 등 취사를 하지 말아야 한다. 운전 중 자동차에서 창밖으로 담뱃불을 버리면 절대 안 된다.
올바른 산불 초기 대응 방법을 정확히 숙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산에서 작은 불씨를 발견하면 외투, 모래 등을 이용해 초기에 진화해야 한다. 산불을 목격하면 119를 이용해 소방서에 신속하게 신고한다.
산불이 제대로 진화되지 않을 경우 산불 발생 장소보다 낮은 공터, 논ㆍ밭 등으로 빠르게 대피한다. 만약 대피가 어렵다면 주변의 연소 물질을 제거하고 바람을 등진 후 최대한 낮은 자세로 엎드려 있어야 한다.
가을철 산불은 경제적ㆍ환경적 피해가 엄청나다. 산불로 인해 소실된 나무들을 복원하는 데 수십 년의 시간이 걸린다.
작은 부주의가 우리 모두의 삶의 터전을 빼앗아 갈 수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 산불의 원인을 조기에 차단하고 아름다운 산을 보호했으면 한다.
영광소방서 현장지휘단 소방사 조경환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광소방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