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와 삼척대의 통합이 확정됨에 따라 전국에서 처음으로 강원도에서 1도 1국립대학 체계가 이뤄질 수 있을지 도내 대학가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강원대 원주대도 다음달 5일께 양 대학 총·학장이 만나 통합기본합의서를 체결하는 등 2007년 통합을 목표로 발빠르게 통합일정을 추진중이여서 도내 국립대간 짝짓기는 그 어느 시·도보다도 앞서 나갈 전망이다 강원대-삼척대 통합의 경우 구조개혁과는 거리가 먼 덩치만 키운다는 일부 비판도 있었지만 통합 계획서대로 지역산업과 연계해 캠퍼스별 특성화를 추진해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경우 명실공히 연구중심 거점대로 전국 10위권 대학을 노릴 수 있게 됐다. 통합이후에 춘천캠퍼스는 기초학문 분야 육성과 생명공학(bt), 정보통신기술(it), 환경공학(et) 등의 분야 특성화에 주력하고 삼척캠퍼스는 지역산업과 연계해 방재건설, 관광레저, 디자인, 한방산업 분야 위주로 특성화를 꾀할 계획이다. 양 대학은 내년 3월1일자로 전면 통합에 들어가지만 당초 교육부가 약속했던 통합추진 예산이 대폭 줄어든데 따른 학내 일부 구성원의 반발을 어떻게 무마하느냐가 최대 과제로 남게 됐다. 강원대 홈페이지 통합관련 게시판에는 “통합대학이 되면 교수와 직원의 구조조정은 전혀 하지 않은채 대학운영이 되면서 등록금 수입원인 학생수는 감축되므로 사실상 분리된 상태보다 예산이 줄어들게 돼 통합대학의 운영이 힘들어 진다”는 부정적인 내용의 글들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6월 교육부에 신청한 양 대학 통합 신청서에는 통합을 위해 올해 407억, 4년간 1,572억이 소요된다고 밝혔으나 확정된 지원액은 259억5,000만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최현섭총장은 이를 의식한 듯 “사립대에 대한 재정지원이 우선되면서 국립대 지원액이 감소한 것 같다. 기본적으로 강원대 통합에서 상호 인적교류가 크지 않은 점 때문에 1차년도 지역액도 낮게 책정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의학과 신설 등을 놓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삼척대는 지역주민들이 통합과 관련, 오해하는 부분이 아직 있는 것 같다며 29일 통합 확정에 따른 학교측의 공식 입장을 밝히기로 했다. 내년 3월 완전통합시까지 추진과정에서 다시 대학 구성원들이 반발해 진통을 겪을 경우 예산만 지원받고 통·폐합은 못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척대학교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