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N 정현희 기자] = 증평소방서(서장 한종우)는 공사장 용접ㆍ용단 작업 중 불티로 인한 화재에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소방서에 따르면 용접 작용의 화재 위험성은 스패터(Spatter) 현상(불티ㆍ불똥 튀김 현상)에서 시작된다.
아크 용접에서는 용접봉과 모재의 수분에 의한 기포의 방출, 가스 폭발, 아크 휨, 과대전류, 긴 아크, 낮은 온도의 모재일 경우, 가스용접에서는 불꽃의 세기가 강할 경우 스패터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스패터 현상으로 인한 불티의 비산거리는 11m 정도이며 온도는 520~1400℃로 가연물을 착화시키는 데 충분한 온도다. 이론적으로 용접 작업 공간 반경 11m 이내 가연물에 불티가 비산되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소방서 설명이다.
용접 작업 화재 예방을 방지하기 위해선 ▲반경 11m까지 가연물 제거 ▲제거가 어려울 경우 물ㆍ모래를 깔거나 내화성 차폐물로 방호 ▲확인되지 않은 장소에서 용접 작업 금지 ▲용접 작업장 주위에는 화재 종류에 적합한 소화설비 준비 등을 준수해야 한다.
한종우 서장은 “공사 현장에는 임시소방시설을 필수로 설치하고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며 “특히 기온이 낮을수록 스패터 현상으로 인해 비산하는 불티가 증가하므로 더욱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현희 기자 ha50154a@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증평소방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