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구급출동 건수가 증가함에는 응급환자 뿐만아니라 단순 감기, 찰과상, 주취자 등 비응급환자에 대한 출동건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방방재청의 통계자료에서도 구급출동의 60%가 비응급환자에 대한 구급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응급환자에 대한 구급출동으로 인해 심정지, 뇌졸중 등 1분1초가 중요한 응급환자 발생시 바로 인근 119구급대에서 출동을 하지 못하고 원거리에 있는 119구급대에서 출동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응급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간인 5분이내 119구급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어 귀중한 생명을 잃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영주소방서에서는 홍보 및 119신고접수ㆍ현장 등에서의 119구급대의 불필요한 출동 축소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응급환자 이송요청 등 상습 구급요청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제는 시민의 의식도 변화해야 할때다. 119구급차는 응급환자가 이용해야 한다. 비응급환자의 구급차 이용으로 꺼져가는 생명의 불씨에 물을 끼얹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주소방서 대응구조구급과 지방소방사 고민혁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주소방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