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신]국감, NDMS 구축사업 중단권고 직격탄에 ‘휘청’국내 업체 기술사장 및 자칫 기술종속으로 이어질 수 있어256회 국회 소방방재청 국정감사에서 국가지휘무선통신망 구축사업이 외국특정 업체에게 특혜를 주고 있다는 여ㆍ야 의원들의 파상공세가 이어지면서 당초 예산했던 3,400억원에서 1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자 본 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궤도 수정할 것을 권고 받는 등 직격탄에 휘청거리고 있다.
최근 소방방재청은 단말기 사업 참여자 입찰을 시행하면서 단말기의 중량을 250g으로 규정하여 300g 이상을 생산하고 있는 대다수의 국내 업체의 입찰참여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고 의원은 “경찰청에서도 1kg이 넘는 무전기를 사용하는데 소방방재청의 중량제한은 과도한 규제”라고 지적하면서 “메인 시스템은 국내 기술로 개발이 불가하다고 해도 국내 생산이 가능한 단말기까지 입찰을 제한하는 것은 국내 기술종속은 물론이거니와 업체간의 경쟁불균형을 초래하는 등 상당한 어려움을 예상케 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대해 소방방재청 권 욱 청장은 “메인장비는 kdi에서 권유한 사안이고 경찰청 개방형이자 표준형으로 국내에서 장비를 개발하기에는 어려우며 단말기에만 참여할 수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하면서 “중량제한은 처음 사안이 불거지기 이전부터 국내 생산업체들도 250g 안을 수용한 것이다”라고 답변했다. 이어 고 의원은 “통합지휘무선통신망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이 지난해 조사했을 때 45개 기관이었는데 최근 소방방재청에서 자체 조사한 자료 결과를 보면 1,441개 기관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왔는데 예산의 절반을 자체 조달하는 지자체와 예산전액을 충당해야 하는 공공기관 모두를 합치면 국가적으로 소요되는 예산은 1조원이 넘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권 청장은 “경찰통신망을 적극 활용해 투자비용을 대폭 줄여나가겠다”고 답변했지만 이날 통합지위무선통신망 구축사업과 관련해 여ㆍ야 의원들의 입장은 상당히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권 청장은 “해일 우려지역에 시스템 팩스로 보냈으며 착오가 있었지만 지금은 시스템을 통해 5분 이내로 지방까지 통보되면 98%의 수급율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권 청장은 “3천억의 예산확보가 쉽지 않아 1년여 정도 늦어질 수 있어도 물리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반영 하겠다”고 답변했다. 열린우리당의 홍미영 의원도 강한 어조로 국가지휘무선통신망 구축사업에 대한 배경을 조목조목 따져 물으면서 본 사업 첫시작부터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지적했다.
홍 의원은 또 “소방방재청으로 본 사업이 이관될 때 방재청에서 담당 직원 2명이서 3천6백억 원의 예산을 편성 집행계획을 감당하게 했다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정감사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